게시판

시놀로지의 새로운 소식들을 전해드립니다.

팁 게시판

Raid 는 백업이 아닙니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5.03.05 15:22

조회수: 35




안녕하세요.


팁게시판 관리자입니다.




이번에는 많은 분들이 잘못 알고 계시는 Raid 와 백업에 대한 얘기를 드려보려고 합니다.


인터넷에서 검색해서 나오는 전문용어가 섞인 내용이 아닌, 이해하시기 편하게 설명드릴 예정이오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1. Raid 는 무엇인가?


Raid 는 디스크 여러 개를 하나로 묶는 것을 뜻하고, 그 중 몇 가지 종류의 Raid 방식을 제외하면 디스크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데이터가 유지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2. Raid 종류


Raid 종류는 많이 있지만, 그 중 많이 활용하거나 자주 접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종류를 간단 명료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1) Raid 0 : 디스크 여러 개를 하나로 묶고 디스크의 모든 용량을 활용할 수 있지만 1개의 디스크라도 장애가 발생하면 데이터 유실 (디스크 장애에 대한 데이터 보호 없음)



2) Raid 1 : 보통 미러링이라고 부르는 Raid 방식입니다. 2개의 디스크로 구성하게 되면 쌍둥이처럼 실시간 동기화를 진행하게 되어 디스크가 1개 장애 발생하더라도 시스템 중단 또는 데이터 손실이 없는 구성입니다.

(4TB x 2ea로 구성하게 되면 4TB x 1ea 만큼이 실용량으로 구성됩니다.)


* 디스크 3개나 4개로 Raid 1 을 구성하면 1개의 디스크가 3벌, 4벌 복제로 진행됩니다. 



3) Raid 5 : 디스크 3개 이상일 때부터 구성이 가능하며, 디스크 여러 개를 하나로 묶고 그 중 1개의 디스크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데이터 유실이 없습니다. 실 사용 가능 용량은 전체 디스크 개수에서 1개를 뺀 나머지 전체입니다.

(4TB x 4ea 로 구성 시 4TB x 3ea 만큼의 실용량 제공)



4) Raid 6 : 디스크 4개 이상일 때부터 구성이 가능합니다. Raid 5와 전체적으로 비슷하지만 디스크 2개까지 장애 발생하더라도 데이터가 유지되는 Raid 5 보다 더욱 안정적인 구성입니다. 실 사용 가능 용량은 전체 디스크 개수에서 2개를 뺀 나머지 전체입니다.

(4TB x 5ea 로 구성 시 4TB x 3ea 만큼의 실용량 제공)



5) Raid 10 : 디스크 4개 이상, 디스크 개수가 짝수일 때 구성이 가능합니다. 디스크를 2개씩 Raid 1으로 구성하고 다시한번 전체를 Raid 0 로 묶어주는 구성입니다. 실 사용 가능 용량은 전체 디스크 개수의 절반입니다. 해당 구성은 추후 디스크를 추가하여 볼륨 확장이 불가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4TB x 6ea 로 구성 시 4TB x 3ea 만큼의 실용량 제공) 


* Raid 10 은  이론적으로 전체 디스크 개수에서 절반이 고장나더라도 데이터가 유지될 수 있지만, 실제로는 Raid 1으로 묶인 한쌍 (2EA)의 디스크가 동시에 고장나는 경우 데이터가 유실될 수 있습니다.


* 가장 많이 활용하고 권장드리는 Raid 구성은 Raid 1 / Raid 5 / Raid 6 입니다.





3. Raid 구성은 왜 하는 것인가?


Raid 는 앞서 Raid 종류에 기재드린 것같이 디스크에 물리적으로 장애가 발생하였을 때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합니다.


데이터가 삭제되거나 변경이 되었을 때 복원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Raid 를 구성하면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식을 이해하기 쉽게 그림으로 준비해보았습니다. 실제 시스템에서는 더욱 세밀하고 복잡하게 작동하지만 간단하게 표현하였습니다.





 위 그림처럼 디스크 3개로 구성한 Raid 5 구성에서 ABC라는 파일을 저장하게 되면 디스크에 각각 AB, BC, CA 이러한 형태로 중복 내용을 분산 저장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디스크 1개가 없더라도 나머지 디스크에 ABC라는 파일을 존재할 수 있게 하는 구조인데요,


여기서 중복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조각들의 합계가 실 용량에서 빠지는 디스크 용량 만큼이 됩니다. 


(예를 들면 Raid 5 는 전체 디스크에서 1개 용량을 뺀 나머지가 실 용량인데, 여기서 디스크 1개 만큼을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중복 저장하는 데이터량이 디스크 1개만큼이 나오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Raid 6는 디스크 2개까지 실 용량에서 빠지기 때문에 좀 더 많은 데이터를 중복 분산 저장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 Raid 를 구성했을 때 디스크 1개 또는 2개에 백업되는 개념이 아닙니다!





여기까지 이해하셨다면 Raid 는 데이터 조각들을 중복 분산 저장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후 데이터에 문제가 발생할 시, Raid 구성만으로 데이터를 복원을 할 수 없다는 것까지 도달하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Raid 는 보신 것처럼 디스크가 H/W적으로 장애가 발생하였을 때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방식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닙니다.





4. 백업은 Raid 와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백업이 Raid 와 다른 가장 요소는 데이터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복원이 가능한 지에 대한 여부입니다.


복원은 데이터에 변질이 생기거나 삭제, 혹은 랜섬웨어에 감염되었을 때, 이전 시점으로 돌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정 이전 시점으로 돌리는 개념이기 때문에, 백업은 스케쥴링 또는 수동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이러한 백업은 Nas 내 로컬에 진행할 수도 있고, 외장 HDD 또는 백업 NAS를 구축하여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NAS 내 로컬에 백업하는 방식은 해당 NAS의 본체 또는 디스크 전체에 문제가 생긴다면 백업을 100번 해두셨다고 하더라도 복원을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에


권장드리지 않습니다.





백업은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만 그 역할을 할 수 있는 보험적인 성격이 있습니다.


소중한 데이터에 대한 가치 또는 데이터를 활용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손실이 백업 NAS 또는 외장 HDD를 구비하는 비용보다 크다면


반드시 백업을 진행하실 것을 권장드립니다.




요약하자면! 디스크의 H/W 적인 장애에 의한 데이터 손실을 막기 위한 것은 Raid 구성이고


데이터의 S/W 적인 손상, 변경, 삭제, 감염을 복원하기 위한 구성은 백업입니다.





모든 분들이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시길 바라며 이만 줄이겠습니다.


혹시라도 데이터 관리에 대한 상담이 필요하시면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전 글

이전 글이 없습니다.

다음 글 데이터 전송 속도가 잘 나오지 않을 때 점검사항

댓글

0건의 댓글이 있습니다.